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복지정책

장애인을 위한 독서 환경 및 도서관 이용 가이드

by find-policy 2025. 2. 18.

 

📚 목차

  • 장애인을 위한 독서의 중요성과 독서 환경의 변화
  • 장애인 맞춤 독서 자료: 점자책·오디오북·전자책의 특징과 활용법
  •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소개 및 이용 가이드
  • 독서를 더 편리하게! 독서 보조기기와 유용한 서비스

 

1️⃣ 장애인을 위한 독서의 중요성과 독서 환경의 변화

장애인을 위한 독서 환경 및 도서관 이용 가이드

 

독서는 지식을 습득하고, 상상력을 확장하며, 사회와 소통하는 필수적인 활동이다. 그러나 장애인에게 독서는 접근성 부족, 정보 제공 미흡, 자료 선택의 한계 등 다양한 장벽이 있었다.

 

다행히 기술 발전과 사회적 인식 변화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 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점자책, 오디오북, 전자책이 점점 다양해지고, 무장애 도서관 서비스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중이다.

 

특히, 스마트폰·태블릿PC 보급이 늘면서 독서 보조 앱, 음성 출력 프로그램, 화면 확대 기능을 활용한 독서가 더욱 편리해졌다. 청각·시각·지체장애인을 위한 맞춤 독서 지원 서비스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독서 자료, 도서관 서비스, 독서 보조기기를 소개하고, 더 쉽게 독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2️⃣ 장애인 맞춤 독서 자료: 점자책·오디오북·전자책의 특징과 활용법

장애인 독서를 지원하기 위해 점자책, 오디오북, 전자책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각각의 특징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 1. 점자책(촉각으로 읽는 지식)

점자책은 시각장애인을 위해 점자로 인쇄된 도서로, 촉각을 통해 글자를 인식할 수 있다.

🔹 특징

  • 점자를 모르는 시각장애인음성 출력 프로그램과 함께 활용 가능
  • 국립장애인도서관, 시각장애인복지관 등에서 무료로 대여 가능
  •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점자 동화책도 다수 제작 중

🎯 추천 점자책 서비스

  • 국립장애인도서관: 점자자료 공유 플랫폼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무료 대출 가능
  • 하상장애인복지관: 문학·역사·과학 등 다양한 점자 도서 제공

💡 활용 팁

  • 점자 학습 초보자라면 '한소네(점자 PDA)' 같은 휴대용 점자 단말기를 활용하자
  • 점자와 오디오북을 병행하면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 2. 오디오북(귀로 듣는 독서)

오디오북시각장애인, 지체장애인, 난독증(디스렉시아) 사용자에게 적합한 독서 방법이다. 전문 성우AI 음성이 텍스트를 읽어주는 형태로 제공된다

🔹 특징

  • 이동 중, 일상 생활 중에도 독서 가능
  • AI 음성 합성 기술로 제작된 무료 오디오북 콘텐츠 증가
  • 단어별 속도·음색 조절 기능 제공

🎯 추천 오디오북 서비스

  •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 ‘소리책’: 문학·역사·경제2,000권 이상의 오디오북 무료 제공
  • 윌라(Welaaa): 일반인 대상 서비스지만 장애인에게는 무료 이용 쿠폰 제공

💡 활용 팁

  • ‘TTS(Text to Speech)’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하면 웹페이지·PDF 파일도 음성으로 변환 가능
  • **'Voice Dream Reader'(iOS/Android)**는 언어별 고품질 음성 제공으로 인기

 

📱 3. 전자책(디지털로 읽는 지식)

**전자책(eBook)**은 시각·지체장애인 모두에게 편리한 독서 방법이다. 폰트 크기·색상 변경, 음성 출력, 확대 기능을 통해 맞춤형 독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 특징

  • 텍스트 크기·배경색·글씨체 변경 가능
  • 음성 해설 및 화면 확대 기능으로 시각장애인도 접근 가능
  • 스마트폰·태블릿·PC 동기화 가능

🎯 추천 전자책 서비스

  • Yes24 eBook: 모든 전자책에 글자 크기·색상 변경 기능 제공
  • 교보문고 eBook: 읽어주는 책(Voice eBook) 서비스로 시각장애인 독서 지원

💡 활용 팁

  • **‘Kindle’**과 같은 해외 전자책 앱은 수만 권의 무료 전자책을 제공
  • **화면 확대 기능(Magnifier)**과 **음성 출력 기능(VoiceOver/TalkBack)**을 함께 활용하면 효과적

 

3️⃣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소개 및 이용 가이드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은 국가·공공기관·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온라인으로 도서를 신청하고, 택배로 받아보는 서비스도 증가하는 추세다

📖 대표적인 장애인 도서관 및 서비스 소개

도서관 서비스명 이용방법
국립장애인도서관 점자책·오디오북·전자책 무료 대출 온라인 회원가입 후 신청
한국점자도서관 점자 도서·촉각 교구 제공 전화 또는 홈페이지 신청
책읽어주는 도서관(밀알복지재단) 봉사자 낭독 서비스 앱 설치 후 음성 도서 선택

🛠️ 장애인 도서관 서비스 이용 가이드

1. 회원가입 및 인증 절차

  1. 국립장애인도서관 홈페이지 접속
  2. 장애인증명서 제출 및 회원가입 완료
  3. 점자책·전자책·오디오북 신청 가능

2. 도서 신청 및 대출 방법

  • 온라인 신청: 홈페이지 → 도서 검색 및 신청 → 택배 배송
  • 앱 이용: ‘소리책’ 앱 설치 후 모바일로 바로 청취

💡 꿀팁

  • '책읽어주는 도서관(밀알복지재단)'은 전문 낭독 봉사자가 요청 도서를 직접 낭독해주는 맞춤 서비스 제공

 

4️⃣ 독서를 더 편리하게! 독서 보조기기와 유용한 서비스

장애인이 독서를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조기기와 맞춤형 앱이 개발되고 있다. 휴대용 점자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 장치, 전자 돋보기 등이 대표적이다

🖥️ 필수 독서 보조기기 TOP 3

  • 한소네(국산 점자정보단말기): 문서 작성·독서·인터넷 검색이 모두 가능한 휴대용 점자기기
  • 오르캠 마이아이(OrCam MyEye): 안경에 부착해 인쇄된 글자를 실시간 음성 출력
  • 크로바 리더(Clover Reader): 책 페이지를 스캔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

💡 구매 팁

  • 국가 보조금을 신청하면 **보조기기 구매 비용의 50~80%**를 지원받을 수 있다
  • 국립재활원 보조기기센터 홈페이지에서 구매 전 무료 체험이 가능

📱 장애인 독서 지원 앱 3가지

  1. 소리책(국립장애인도서관): 점자책·오디오북·전자책모바일로 무료 제공
  2. Voice Dream Reader: PDF·ePub·Word 파일AI 음성으로 읽어주는 앱
  3. BeeLine Reader: 글자에 그라데이션을 적용해 시각 피로도를 낮춰주는 독서 보조 앱

💡 활용 팁

  • '스마트폰 접근성 설정(VoiceOver/TalkBack)'을 활성화하면 모든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 가능
  • PDF 문서를 읽을 때는 ‘Adobe Reader’의 읽어주기 기능이 유용

 

독서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어야 한다

 

장애인을 위한 독서 환경이 점자책·오디오북·전자책의 다양화와 기술 발전을 통해 점점 더 개선되고 있다. 국립장애인도서관, 소리책 앱, 독서 보조기기를 잘 활용하면, 장애인도 편하게 독서를 즐기고 지식을 쌓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장애인 독서 환경 개선에 관심을 가지길 바라며, 이 글이 누군가의 독서 여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