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복지정책

장애인을 위한 영화·OTT 콘텐츠 접근성 서비스

by find-policy 2025. 2. 17.

📖 목차

  • OTT 콘텐츠 접근성의 중요성: 모두가 함께 즐기는 미디어
  • 장애 유형별 OTT 서비스 기능 및 활용 가이드
  • OTT 플랫폼별 장애인 접근성 서비스 비교(넷플릭스·디즈니+·왓챠·티빙)
  • 배리어프리 콘텐츠를 더욱 편하게 즐기는 꿀팁

 

1️⃣ OTT 콘텐츠 접근성의 중요성: 모두가 함께 즐기는 미디어

장애인을 위한 영화·OTT 콘텐츠 접근성 서비스

 

영화와 드라마는 사람들의 감정을 연결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창구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시각·청각·지체 장애인OTT 콘텐츠를 자유롭게 즐기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다. 자막이 없는 영상, 음성 해설(AD) 서비스 부재, UI 접근성 부족이 그 원인이다.

 

국내에서는 OTT 플랫폼들이 접근성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자막·음성 해설·UI 개선은 물론, AI 음성 인식·VR 콘텐츠의 접근성 향상까지 시도하는 중이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는 2014년부터 모든 자체 제작 콘텐츠에 음성 해설을 추가하고 있으며, '디즈니+'는 수어 해설 영상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장애 유형별 접근성 기능OTT 플랫폼별 서비스 차이점을 살펴보고, 장애인이 콘텐츠를 더 쉽게 즐길 수 있는 팁을 소개할 예정이다. 

 

2️⃣ 장애 유형별 OTT 서비스 기능 및 활용 가이드

 

OTT 콘텐츠를 접근하는 방식은 장애 유형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지체장애인이 활용할 수 있는 핵심 기능과 설정 방법을 안내한다.

👀 1. 시각장애인을 위한 OTT 접근성 기능

시각장애인은 화면 속 상황을 음성으로 전달받는 음성 해설(Audio Description, AD) 기능이 필수다. 최근에는 AI 기반 음성 해설을 통해 대사와 상황 설명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 활용할 수 있는 기능

  • 음성 해설(AD): 화면에 보이는 행동·장소·상황을 해설로 전달.
  • 스크린 리더(Screen Reader): UI를 음성으로 안내해 플랫폼 탐색 가능.

🎯 설정 방법 예시(넷플릭스)

  1. 넷플릭스 로그인 → 시청할 콘텐츠 선택
  2. 오디오 및 자막 옵션 클릭
  3. ‘한국어(음성 해설)’ 선택

🔍 추천 앱:

  • VoiceOver(iOS): OTT 콘텐츠 감상 시 UI를 음성으로 안내.
  • TalkBack(Android): 화면 탐색과 선택을 음성으로 지원.

🎧 2. 청각장애인을 위한 OTT 접근성 기능

청각장애인에게는 자막과 수어 해설, 화면 깜빡임 알림이 필수적이다. 자막의 색상, 크기, 배경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도 유용하다.

🛠️ 활용할 수 있는 기능

  • 자막(Captions): 대사·음향·음악 등을 텍스트로 전달.
  • 수어 해설(Sign Language Interpretation): 주요 OTT에서 점진적 도입 중.

🎯 설정 방법 예시(디즈니+)

  1. 디즈니+ 로그인 → 프로필 설정
  2. 접근성 설정 → 자막 스타일 설정
  3. 자막 색상·크기·배경 투명도를 필요에 맞게 변경

🔍 추천 앱:

  • AVA(실시간 자막 앱): 영화·영상의 대사를 실시간으로 텍스트로 표시.
  • Sound Amplifier(안드로이드): 소리를 증폭해 콘텐츠 몰입도 강화.

🖐️ 3. 지체장애인을 위한 OTT 접근성 기능

지체장애인(특히 손 사용이 어려운 경우)은 음성 명령 기능과 AI 리모컨을 통해 콘텐츠를 탐색해야 한다.

🛠️ 활용할 수 있는 기능

  • 음성 명령(Voice Control): 음성으로 콘텐츠 검색 및 재생 가능.
  • 스마트 리모컨: 간단한 제스처나 눈 움직임으로 콘텐츠 제어.

🎯 설정 방법 예시(왓챠)

  1. 스마트폰 설정 → 접근성 → 음성 명령 기능 활성화
  2. 왓챠 앱 실행 후 **음성 명령어(“OO영화 틀어줘”)**로 콘텐츠 탐색

🔍 추천 앱:

  • Google Voice Access: 음성으로 스마트폰 제어 가능.
  • Dwell Clicker: 마우스 클릭 없이 화면 탐색 가능.

 

3️⃣ OTT 플랫폼별 장애인 접근성 서비스 비교(넷플릭스·디즈니+·왓챠·티빙)

OTT 플랫폼마다 장애인 접근성 서비스의 수준이 다를 수 있다. 아래는 주요 4개 플랫폼의 서비스 제공 현황을 비교한 표다.

플랫폼음성 해설(AD)자막(Captions)수어 해설(Sign Language)UI 음성 안내

플랫폼 음성 해설(AD) 자막(Captions) 수어해설(Sign Language) UI 음성 안내
넷플릭스 대부분의 오리지널 콘텐츠 커스터마이징 가능 ❌ (일부 콘텐츠 한정) VoiceOver/TalkBack 지원
디즈니+  주요 콘텐츠 제공 다국어 지원 🔄 (도입 확대 중) AI 음성 명령 지원
왓챠 일부 콘텐츠 적용 중 커스터마이징 가능 앱 내 음성 안내 기능
티빙 도입 준비 중 국내 콘텐츠 위주 스마트TV 음성 명령

 

🔍 분석 포인트

  • 넷플릭스AD(음성 해설) 제공 범위가 가장 넓고, UI 접근성도 우수.
  • **디즈니+**는 다국어 자막·AI 기반 음성 명령이 강점.
  • 왓챠와 티빙접근성 기능 개선 단계지만, 국내 콘텐츠 자막 품질이 좋다는 장점이 있음.

 

4️⃣ 배리어프리 콘텐츠를 더욱 편하게 즐기는 꿀팁

OTT 콘텐츠를 보다 쉽게 즐기려면 기본 설정 변경보조 장치 활용이 필요하다. 소소한 설정 변경만으로도 시청 경험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1. 자막 설정 최적화하기

  • 자막 배경 색상: 시력이 약한 경우 검은 배경 + 흰 글씨가 가장 가독성이 좋음.
  • 자막 크기: 중간 이상(약 150%)으로 설정하면 가독성이 크게 향상.
  • 자동 자막 생성 기능 활용: 유튜브, 넷플릭스AI 기반 자막 생성 기능 제공.

2. 음성 해설 콘텐츠 찾는 방법

  • 넷플릭스에서 **‘AD’(Audio Description)**을 검색하면 음성 해설이 포함된 콘텐츠 목록이 표시된다.
  • 디즈니+는 **‘접근성 카테고리’**를 통해 배리어프리 콘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다.

3. 스마트 기기 활용

  • 스마트TV + 스마트 스피커: **“넷플릭스에서 영화 ‘인턴’ 틀어줘”**와 같은 음성 명령으로 콘텐츠 탐색 가능.
  • 아이패드+VoiceOver: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콘텐츠 선택 및 감상 가능.

 

접근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콘텐츠를 즐길 권리를 가지고 있다. OTT 플랫폼들이 자막·음성 해설·수어 해설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접근성 기술이 발전할수록, 콘텐츠를 즐기는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시각·청각·지체장애인이 더 쉽게 즐길 수 있는 OTT 콘텐츠 환경이 되기를 바라며, 이 글이 누군가의 영화·드라마 감상에 작은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