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복지정책

장애인을 위한 국내 여행 이동 수단 및 관광지 접근성 가이드

by find-policy 2025. 2. 15.

장애인을 위한 국내 여행 이동 수단 및 관광지 접근성 가이드

 

📌 목차

  • 장애인을 위한 국내 여행의 중요성 및 현실
  • 장애인을 위한 주요 이동 수단 (항공, 기차, 버스)
  • 장애인 친화적인 숙박 시설 및 관광지 접근성
  • 장애인 여행 지원 서비스 및 활용 팁
  • 장애인이 여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1. 장애인을 위한 국내 여행의 중요성 및 현실

장애인을 위한 국내 여행 이동 수단 및 관광지 접근성 가이드

 

 

여행은 누구에게나 휴식과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활동이지만, 장애인이 여행을 계획할 때는 여러 가지 추가적인 고려 사항과 제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 여행이 어려운 주요 이유

  • 이동 수단 부족 →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교통수단이 한정적이며, 예약이 필수인 경우가 많음
  • 숙박 시설 접근성 문제 → 장애인용 객실이 있는 숙박업소가 제한적이며, 정보가 부족함
  • 관광지 접근성 부족 → 계단이 많은 관광지, 장애인용 화장실 부족 등 불편한 요소가 많음
  • 여행 정보 부족 → 장애인을 위한 여행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이 부족함

하지만 최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장애인을 위한 무장애 관광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으며, 점차 개선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 참고:

  • 한국관광공사에서 "열린관광지"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장애인, 노약자, 유아 동반 가족도 편리하게 여행할 수 있는 관광지를 확대하고 있음.

 

2. 장애인을 위한 주요 이동 수단 (항공, 기차, 버스)

여행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편리하고 안전한 이동 수단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주요 교통수단별 접근성을 살펴보겠습니다.

① 장애인을 위한 항공편 이용 방법

항공기 이용 시 장애인 지원 서비스

  • 휠체어 이용 승객을 위한 우선 탑승 서비스 제공
  • 공항 내 장애인 전용 카운터 및 전용 체크인 서비스 운영 (항공사별로 상이)
  • 항공기 내 휠체어 이동 지원 서비스 제공 가능

항공편 이용 시 사전 준비 사항

  1. 사전 예약 필수
    • 장애인용 좌석 또는 휠체어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항공사에 미리 예약하는 것이 중요
    • 국내 주요 항공사(대한항공, 아시아나, 저비용항공사 등)에서는 출발 24시간 전까지 장애인 지원 서비스 신청 가능
  2. 공항 이동 및 탑승 과정
    • 인천국제공항, 김포공항 등 주요 공항에는 장애인을 위한 전용 보안검색대 및 탑승 게이트 운영
    • 전동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일부 항공사는 기내에서 사용 가능한 휠체어 제공

📌 항공사별 장애인 지원 서비스 예시

  • 대한항공: 휠체어 서비스, 우선 탑승, 도착지 내 장애인 이동 지원
  • 아시아나항공: 기내 이동 보조 서비스, 장애인 할인 운임 적용

 

② 장애인을 위한 기차(KTX, ITX, 일반 열차) 이용 방법

KTX 및 일반 열차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지원 서비스

  • KTX, ITX 등 고속열차에는 장애인 전용 좌석 및 휠체어 탑승 공간 마련
  • 장애인 전용 승강장, 리프트, 엘리베이터 등 접근성 고려한 시설 운영
  • 열차 내 장애인용 화장실이 마련된 차량 운영

기차 이용 시 사전 준비 사항

  1. 코레일 장애인 승차권 예약
    • 장애인 등록증을 소지한 경우, 코레일 홈페이지 또는 코레일톡 앱을 통해 장애인 전용 좌석 사전 예약 가능
    • 1~3급 장애인은 KTX 요금 50% 할인 혜택 제공 (동반 보호자 1인 포함 할인 가능)
  2. 장애인 전용 서비스 활용
    • 역무원 호출 버튼을 통해 열차 승·하차 보조 요청 가능
    • 휠체어 리프트가 필요한 경우, 출발 24시간 전에 해당 역에 사전 요청 필수

📌 참고:

  • 지방 소도시역은 휠체어 리프트 등 장애인 지원 시설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 필요

③ 장애인을 위한 버스 이용 방법

저상버스 및 장애인용 시외버스 이용 가능

  • 저상버스: 전국 주요 도시에서 운행 중이며, 휠체어 탑승 가능
  • 장애인 전용 리프트 버스(시외버스): 일부 노선에서만 운영 중

시외버스 이용 시 사전 예약 필수

  1.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버스인지 확인
    • 일부 시외버스 노선에서는 장애인 전용 좌석 및 휠체어 리프트 버스를 운영
  2. 사전 예약 및 문의 필수
    • 버스터미널 및 고속버스 예매 시스템에서 장애인용 좌석이 있는지 확인 후 예매

📌 주의 사항:

  • 일부 지역에서는 장애인 친화적인 시외버스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대체 교통수단 확인 필요

 

3. 장애인 친화적인 숙박 시설 및 관광지 접근성

장애인 친화적인 숙박 시설을 찾는 방법

  • 한국관광공사 "무장애 관광" 사이트 활용
  • 대형 호텔 및 리조트의 장애인 객실 여부 확인 후 예약
  • 객실 내 휠체어 이동 공간, 장애인 전용 욕실(손잡이, 낮은 세면대) 여부 확인 필수

대표적인 장애인 친화 관광지 (열린관광지 사업 포함)

  • 서울 경복궁(배리어프리 코스 운영)
  • 제주도 성산일출봉(휠체어 이동 가능 구간 확장)
  • 부산 해운대(장애인용 해변 산책로 및 엘리베이터 설치)

📌 참고:

  • 일부 관광지는 아직도 계단이 많거나 접근성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장애인 편의시설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

 

4. 장애인 여행 지원 서비스 및 활용 팁

① 장애인 여행 지원 서비스

  • 장애인 콜택시(서울, 부산 등 주요 도시 운영)
  • 무장애 렌터카 서비스(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 대여 가능)

② 여행 시 필수 준비물 체크리스트

  • 장애인 등록증 (할인 혜택 적용 가능)
  • 사전 예약 필수 (교통수단, 숙소, 관광지)
  • 여행지 내 장애인 편의시설 정보 확인

 

🔹장애인을 위한 국내 여행, 정보만 잘 활용하면 가능하다!

항공, 기차, 버스 등 장애인 친화적인 이동 수단을 사전 예약하여 이용 가능
무장애 관광지 및 장애인 친화적인 숙박 시설 정보를 활용하여 편리한 여행 가능
여행 전 필수 정보 확인 및 예약을 통해 예상치 못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음

 

장애인을 위한 여행 환경은 계속 개선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무장애 관광지가 늘어나길 기대합니다! 🚀